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미아 구리엘리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타오-클라제티 공작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아쇼트 1세바그라트 1세(타오-클라제티)아다르나세 2세과람
타오 공작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다비트 1세구르겐 1세(타오)아다르나세 3세아쇼트 2세
타오 공작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구르겐 2세바그라트 1세아쇼트 3세아다르나세 4세
타오 공작
제9대제10대제11대-
바그라트 2세(타오)다비트 3세바그라트 3세-
클라제티 공작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숨바트 1세(클라제티)다비트 1세(클라제티)바그라트 1세(클라제티)숨바트 2세
클라제티 공작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다비트 2세(클라제티)바그라트 2세(클라제티)숨바트 3세바그라트 3세(클라제티)
이베리아 국왕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아다르나세다비트 2세숨바트 1세바그라트 2세
이베리아 국왕
제5대---
구르겐 1세---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바그라트 3세기오르기 1세바그라트 4세기오르기 2세
조지아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다비트 4세데메트리우스 1세다비트 5세데메트리우스 1세
조지아 왕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기오르기 3세타마르기오르기 4세루수단
조지아 왕국
제13대제14대--
다비트 6세다비트 6세
다비트 7세
--
서부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다비트 6세콘스탄틴 1세(서부 조지아)미켈(서부 조지아)바그라트 1세(서부 조지아)
동부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다비트 7세데메트리우스 2세바흐탄그 2세다비트 8세
동부 조지아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기오르기 5세바흐탄그 3세다비트 8세기오르기 6세
동부 조지아 왕국
제9대---
기오르기 5세---
1차 통합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
기오르기 5세다비트 9세바그라트 5세-
1차 이메레티 왕국
초대제2대제3대-
알렉산드레 1세(이메레티)기오르기 1세(이메레티)콘스탄틴 2세(이메레티)-
2차 동부 조지아 왕국
초대2대--
바그라트 5세기오르기 7세--
2차 통합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기오르기 7세콘스탄틴 1세알렉산드레 1세바흐탄그 4세
2차 통합 조지아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기오르기 8세바그라트 6세알렉산드레 2세콘스탄틴 2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알렉산드레 2세바그라트 3세(이메레티)기오르기 2세(이메레티)레반(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로스톰(이메레티)바그라트 4세(이메레티)기오르기 3세(이메레티)알렉산드레 3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바그라트 5세(이메레티)바흐탄그 츠추나슈빌리아르칠리(이메레티)디미트리오스 구리엘리
2차 이메레티 왕국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기오르기 4세(이메레티)알렉산드레 4세기오르기 5세(이메레티)시몬(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마미아 구리엘리기오르기 6세(이메레티)기오르기 7세(이메레티)기오르기 8세(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알렉산드레 5세기오르기 9세(이메레티)마무카솔로몬 1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제25대제26대제27대-
테이무라즈(이메레티)다비트 2세(이메레티)솔로몬 2세-
카헤티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기오르기 8세알렉산드레 1세(카헤티)기오르기 2세(카헤티)레반(카헤티)
카헤티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알렉산드레 2세(카헤티)다비트 1세(카헤티)콘스탄틴 1세(카헤티)테이무라즈 1세
카헤티 왕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아르칠리(이메레티)에레클레 1세다비트 2세(카헤티)콘스탄틴 2세(카헤티)
카헤티 왕국
제13대제14대--
테이무라즈 2세
타마르 2세
에레클레 2세--
카르틀리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콘스탄틴 2세다비트 10세기오르기 9세루아르사브 1세
카르틀리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시몬 1세다비트 11세기오르기 10세루아르사브 2세
카르틀리 왕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바그라트 7세시몬 2세로스톰바흐탄그 5세
카르틀리 왕국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기오르기 11세에레클레 1세카이호스로(카르틀리)예세
카르틀리 왕국
제17대제18대--
바흐탄그 6세테이무라즈 2세
타마르 2세
--
카헤티와 카르틀리 연합 왕국
초대제2대--
에레클레 2세기오르기 12세--



2차 이메레티 왕국 17대 군주
მამია გურიელი | 마미아 구리엘리
제호한국어마미아 구리엘리
조지아어მამია გურიელი
라틴어Mamia Gurieli
가족기오르기 구리엘리(아버지)
카이호스로 2세 구리엘리(형제)
엘레나(첫째 아내)
타마르(둘째 아내)
기오르기 4세 구리엘리(장남)
카이호스로 3세 구리엘리(차남)
니콜로즈(삼남)
레반(사남)
타마르(장녀)
생몰 년도미상 ~ 1714년
재위 기간1701년 ~ 1702년(1차 재위)
1711년 ~ 1712년(2차 재위)
1713년 ~ 1714년(3차 재위)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2차 이메레티 왕국 17대 군주.


2. 생애[편집]


구리아 공국의 공작이자 2차 이메레티 왕국 13대 군주인 기오르기 구리엘리와 밍그렐리아 공작 레반과 바그라트 5세의 미망인이었던 타마르의 아들이다. 형제로 카이호스로 2세 구리엘리가 있었다. 1684년 아버지가 로키티 전투에서 알렉산드레 4세가 이끄는 이메레티군에게 패하고 전사한 뒤, 카이호스로와 함께 아할치헤로 달아났다.

아할치헤의 유수프 파샤는 1685년 카이호스로에게 투르크군을 맡겨 구리아로 돌아가서 알렉산드레 4세가 임명한 구리아 공작이자 기오르기 구리엘리의 형제인 말라키아를 쫓아내게 했다. 말라키아는 아할치헤로 도망쳤고, 유수프 파샤는 말라키아와 카이호스로를 화해시켰다. 카이호스로는 말라키아를 해치지 않겠다고 약속했지만, 말라키아가 구리아로 돌아오자 곧바로 체포해 실명형에 처했다. 이에 분노한 유수프 파샤는 군대를 파견하여 구리아를 정벌했다. 1689년, 카이호스로 구리엘리는 투르크군의 초대를 받고 들어갔다가 피살되었고, 눈이 멀었던 말라키아가 구리아를 통치했다.

얼마 후, 유수프 파샤는 구리아인들로부터 카이호스로의 동생인 그를 말라키아와 함께 통치하게 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수락했다. 이리하여 구리아로 돌아온 그는 카이호스로의 신부였던 엘레나 아바시제와 결혼했다. 말라키아는 나중에 셰모크메디 수도원수도자가 되었다. 1690년, 그는 추방당한 카르틀리 왕 기오르기 11세를 맞이했다. 그러나 자신의 가신들이 기오르기 11세를 추종할 기미를 보이자 기오르기 11세를 압박해 오스만 제국이 통치하는 고니오로 떠나게 했다. 1698년 오스만 술탄 무스타파 2세의 지시를 받은 아할치헤의 셀림 파샤가 시몬 왕자를 앞세워 이메레티로 쳐들어오자, 그는 즉시 시몬의 편을 들어 아르칠리 왕을 몰아냈다.

얼마 후 시몬이 중앙에서 강력한 권력을 행사하는 기오르기 아바시제의 딸이자 기오르기 5세의 미망인인 타마르와 갈등을 벌이다 귀족들의 외면을 받자 카르틀리로 피신했다. 이후 기오르기 아바시제가 섬정으로서 이메레티를 통치하자, 그는 기오르기 아바시제의 권세가 지나치게 강해지는 걸 두려워해 시몬을 왕좌에 다시 앉히기로 마음먹고, 셀림 파샤에게 군대를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셀림 파샤는 헤라클리오스 1세에게 시몬을 아할치헤로 보내라고 했고, 시몬이 오자 다시 구리아로 보냈다. 그는 시몬에게 아내이자 기오르기 아바시제의 또다른 딸인 아니카와 이혼하고 자신의 여동생과 결혼하라고 권고해 성사시켰다.

이와 같은 상황에 위협을 느낀 기오르기 아바시제와 기오르기 리파르티아니는 사칠라오에서 군대를 모았다. 그러면서 그에게 시몬을 죽이고 왕위를 스스로 찾이하라고 권고했다. 그는 이에 혹해 그들의 제안을 수락했고, 1701년 자객을 보내 시몬을 살해하고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기오르기 아바시제가 왕실 영지와 수입을 통제했기 때문에, 그는 구리아 신민을 노예로 팔아서 재원을 충당하는 수밖에 없었다. 급기야 1702년 기오르기 아바시제에 의해 폐위되어 구리아로 달아나야 했고, 기오르기 아바시제는 기오르기 6세로서 왕위에 올랐다.

1707년 기오르기 6세가 퇴위하고 시몬의 동생인 기오르기 7세가 왕위에 올랐다. 그는 시몬을 죽인 그에게 원한을 품고 대대적인 공세를 개시해 구리아 일대를 황폐화시켰지만, 그를 완전히 제압하지는 못하고 물러났다. 1711년 이메레티 귀족들은 기오르기 7세를 축출하고 그를 복위시켰다. 카르틀리 왕국으로 물러난 기오르기 7세는 바크탕 6세의 영접을 받고 다시 삼츠헤로 가서 이삭 파샤로부터 군사 원조를 받기로 했다. 1712년, 기오르기 7세는 군대를 이끌고 이메레티로 진군했다. 그는 이에 맞서 출진했지만, 취하리 전투에서 패배한 뒤 라차로 도피했다.

1713년, 그는 밍그렐리아 공국, 라차, 아다시드제와 함께 기오르기 7세에 대항하는 동맹을 맺었다. 연합군은 오크리베 전투에서 왕실군을 물리쳤고, 기오르기 7세는 카르틀리 왕국으로 도피했다. 이리하여 이메레티 왕위에 세번째로 올랐지만 1714년 1월에 사망했고, 아할치헤의 파샤로부터 원조를 받은 기오르기 7세가 재차 이메레티로 진군해 왕위에 올랐다.

그는 생전에 두 번 결혼했다. 1698년 기오르기 아바시제의 딸 엘레나와 첫번째로 결혼했지만 장인과 사이가 좋지 않아지자 1711년 이혼하고 라차 공작 파푸나 1세의 딸인 타마르와 재혼했다. 타마르는 1713년 남편이 사망한 뒤 기오르기 7세와 재혼했고 1716년 사망해 겔라티 수도원에 안장되었다. 장남 기오르기 4세 구리엘리는 구리아 공작을 이어받았고 나중에 기오르기 7세의 뒤를 이어 이메레티 왕이 되었다. 차남 카이호스로 3세 구리엘리는 형 기오르기 4세 구리엘리에 맞서 반기를 들었으나 진압되었다. 삼남 니콜로즈는 세목메디 주교를 지냈으며, 사남 레반은 구리아 공작을 자칭하며 반기를 들었다가 진압되었다. 장녀 타마르는 밍그렐리아 공국의 공작 기오르기 4세 다디아니와 결혼했다가 1714년 이혼하고 1716년 기오르기 7세와 결혼했다. 또한 아할치헤의 아슬란 파샤, 기오르기 셰르바시제의 아내들이 그의 딸이라고 전해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21:01:11에 나무위키 마미아 구리엘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